임신 중 치과 치료, 정말 받아도 괜찮을까요?
치통은 참기 어려운데, 임신 중이라 치료를 미루고 계신가요?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시기와 조건을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신 중 치아 통증을 경험하셨던 분들이라면, ‘지금 치료받아도 될까?’ ‘마취는 위험하지 않을까?’ 같은 고민을 해보셨을 겁니다. 치통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고통이며,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잇몸이 붓거나 충치가 악화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하지만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필요한 치료를 미루다 보면 오히려 태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신 중 치과 치료가 가능한 시기와 안전한 마취 범위, 피해야 할 처치 등을 전문적이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임신 중 치통이 자주 생기는 이유
임신 중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잇몸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를 ‘임신성 치은염’이라고 하며, 피가 나거나 붓고,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입덧으로 인해 위산이 치아에 자주 닿거나, 식사 횟수가 늘어나는 등의 변화로 충치가 악화되기 쉽습니다.
여기에 치실이나 양치질에 소홀해지면 세균 번식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전보다 더 자주 치통이나 잇몸 질환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를 단순한 ‘임신 증상’으로만 여기지 않고, 필요할 경우 적절히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2. 치료가 가능한 안전한 시기
임신 중 치과 치료는 가능하지만 시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정기에 해당하는 임신 14주~27주 사이(2기)가 가장 안전한 시기로 평가됩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 기관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유산 위험도 낮기 때문에 마취나 약물 사용 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습니다.
1기(1~13주)는 태아의 장기 형성 시기로 예민하며, 3기(28주 이후)는 장시간 누운 자세가 불편할 수 있고, 조산의 위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치과 진료가 필요하다면 가능한 한 2기 내에 계획적으로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마취는 괜찮을까요?
국소마취는 임신 중 치과 치료 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리도카인(Lidocaine) 같은 약제는 임산부에게도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통증을 참는 것보다 안정적인 마취 하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오히려 태아에게도 긍정적입니다.
단, 마취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산부인과와 치과 간 협의가 필요하며, 치료 전 임신 사실을 꼭 알려야 합니다. 마취 시 사용하는 에피네프린 용량이나 위치에 따라 자궁 수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4. 엑스레이와 약 처방은 어떻게?
치과 치료 전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최근에는 방사선 노출량이 매우 적고, 복부를 납 차폐막으로 보호하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특히 디지털 엑스레이 장비는 기존보다 방사선량이 훨씬 낮아졌습니다.
약 처방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진통제 중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계열)이 가장 흔히 사용되며, 항생제는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가 비교적 안전하다고 평가받습니다. 다만 임의 복용은 금물이며, 반드시 산부인과와 상의 후 복용해야 합니다.
5. 피해야 할 치료와 주의사항
임신 중에는 미용 목적의 치료나 불필요한 외과적 수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스케일링은 가능하지만, 발치나 임플란트 시술은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출산 이후로 미루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취 범위가 넓거나 장시간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무리하지 않아야 합니다.
- 치아 미백, 보톡스, 미용 시술은 임신 중 금지
- 자가 진통제, 항생제 복용은 절대 금지
- 충분한 수분 섭취와 구강 위생 관리 병행 필수
6. 임산부를 위한 치과 진료 체크리스트
- 임신 사실을 반드시 의료진에게 먼저 알리기
- 가능한 치료 시기는 임신 14~27주 사이
- 복부 차폐막 요청 및 방사선 최소화 촬영하기
- 마취나 약물 복용 전 산부인과와 상담
- 통증을 참지 말고 적절한 시기에 진료 받기
Q. 임신 중 마취 주사는 태아에게 해롭나요?
A. 리도카인 성분은 비교적 안전하며, 적정량 사용 시 문제가 없습니다.
Q. 충치가 심한데 출산 후까지 참아야 하나요?
A. 통증이 지속될 경우 임신 중이라도 안전한 시기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Q. 엑스레이를 찍으면 아이에게 기형이 생길 수 있나요?
A. 최근 디지털 엑스레이는 방사선량이 매우 적으며, 차폐막을 이용하면 위험성이 거의 없습니다.
임신 중이라고 해서 치과 치료를 무조건 미루는 것은 오히려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시기와 방법을 올바르게 아는 것이며, 전문가와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치료를 안전하게 진행하는 것입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하시어 불안감을 덜고, 자신감 있게 건강한 임신 기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